- [칼럼] 유방암, 치료보다 관리가 중요한 이유
▲정준석 소람한방병원 책임원장 유방암은 여성암 중 갑상선 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입니다. 지난해 10만 명당 65.7명이 유방암으로 사망했습니다. 5년 생존율이 92.3%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지만 환자 수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유방암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5대 암 진료환자 수 및 진료비 현황’ 자료에...
- [김민정 칼럼] - 인체의 면역이 하는 일 그리고 면역세포는 어떤 것들이 있나
글: 김민정 한의사(김민정 한의원장) 사람의 몸은 외부의 감염물질이나 세포손상 독성과 같은 몸에 해로운 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시스템이 있는데 그것을 면역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면역시스템은 암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 몸은 암세포와 지속적으로 전쟁을 합니다. 유전자수준에서는 암세포가 생기지 않도록 돌연변이 DNA를 수리하고 너무...
- [김민정 칼럼] 암 주변세포들이 암을 돕는다? 암치료의 새로운 변화: 암 미세환...
글: 김민정 한의사 (김민정 한의원장) 이전 암 연구가 암세포 자체에 집중해 있었다면 최근 암 연구의 방향은 암과 암 주변 조직에 대한 연구로 바뀌고 있습니다. 암세포가 독립적으로 주변 환경과 관계없이 그 세포만 변해서 암의 특성이 나타났다고 보는 관점에서 암세포가 주변 환경과 상호 영향을 통해 발전하고 변이를 일으킨다고 보는 관점으...
- 펜벤다졸 먹어도 되나요
글: 김진목 | 부산대병원 통합의학센터 교수, 파인힐병원 병원장, 대한통합암학회 학회장, 대한민국 숨은명의 50, ‘통합암치료 로드맵’ 등 다수 저술 마르퀴스후스후(세계3대 인명사전) 등재 강아지 구충제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인터넷에 말기 소세포폐암 환자가 강아지 구충제로 완치되었다는 경험담을 올렸고, 이것이 미국 TV에 소개...
- 대장암 수술부위에 따른 식사요법, 제대로 알고 대처
글: 메디플러스솔루션 유미선 대장암 수술이라는 큰 고비를 넘겼다. 이제부턴 정상생활로 돌아가기 위해 회복에 집중해야 할 단계이다. 대장암 수술은 종양의 위치에 따라 절제 부위와 범위가 다르고 경우에 따라서는 장루라는 인공항문을 만들어 주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대장은 1.5m나 되는 긴 장기로, 부분마다 흡수하는 영양소와 하는 일이 조금...
- 치료 후에도 남는 극심한 통증, 대상포진후신경통
글: 건국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김재헌 대상포진후신경통, 마취통증의학과 찾아 초기부터 적극적인 치료해야 얼마 전 65세 여자분이 가슴과 등에 발생한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외래에 오셨다. 그 통증이 어찌나 심한지 옷이 몸에 닿기만 해도 쓰라리면서 찢어지는 듯한 통증이 있었고, 선풍기나 에어컨 바람이 닿아도 아파서 어쩔 줄을 몰...
- [김민정 칼럼] - 염증때문에 생기는 암, 양날의 검과 같은 면역반응
글: 김민정 한의사(김민정 한의원장) Tumor-promoting inflammation: 암을 유발하는 염증 암을 발생하게 하는 두 번째 근원적인 요인으로 이 논문에서는 암을 유발하는 염증을 들고 있습니다. 이것을 살펴보기에 앞서 염증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조직이 손상을 입었을 때에 체내에서 일어나는 방어반응입니다. 외상이나...
- [김민정 칼럼] - 한의사가 알려주는 코로나 19 치료와 예방을 위한 질의 응답
글: 김민정 한의사(김민정 한의원장) 1. 현재 코로나19에 대한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 위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면역력이란 무엇인가요? 사람의 몸은 외부의 감염물질이나 세포손상 독성과 같은 몸에 해로운 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시스템이 있는데 그것을 면역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네. 그래서 지금까지 나온 사례...
- [Kim Min-jung Column] - Oriental Medicine’s ...
Written by Kim Min-jung, an oriental medical doctor (Kim Min-jung, chairman of the Oriental Medicine Clinic, Harvard Medical School |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Cancer Biology & Therape...
- [김민정 칼럼] 한의학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치료법
글: 김민정 한의사(김민정 한의원장) 한의학에서 바라본 코로나 19-예전부터 한의학으로 치료해 온 역병으로 분류 코로나 19로 인해 전 세계가 긴장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확진자가 나오고 사망자 수 또한 늘고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이제 코로나 19로 불리는 이 감염병을 한방에서는 역병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와 ...
- [김민정 칼럼] 세포의 돌연변이와 진화 그리고 암(癌)은 어떤 연관이 있나
글: 김민정(김민정 한의원장) 암세포와 돌연변이와 진화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우리가 암이라고 부르는 것은 실은 한 가지 종류의 세포로 이루어진 것이 아닙니다. 암조직은 여러 가지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사람의 신장암이라고 해도 그 암조직을 떼어 조직검사를 하면 각각 다른 돌연변이를 가진 암세포들이 모여 있습니다. 이...
- 고기 먹는 것이 환경과 무슨 상관?
글: 김진목 | 부산대병원 통합의학센터 교수, 파인힐병원 병원장, 대한통합암학회 학회장, 대한민국 숨은명의 50, ‘통합암치료 로드맵’ 등 다수 저술 마르퀴스후스후(세계3대 인명사전) 등재 2019년 9월 20일과 21일 파리와 베를린, 뉴욕과 서울에 이르기까지 160여 개국 400여만 명이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기후 파업을 주도했...
- 대장암, 장루가 있어도 즐겁게 운동할 수 있다
글: 메디플러스솔루션 김종광 박사 운동은 이제 스스로의 건강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일부분이라고 인식되고 있다. 이는 암 환자에게도 마찬가지로써 최근 10여 년 동안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많은 운동 연구가 진행되면서 많은 전문가들은 암 치료 중, 후에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면 암 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고 낮아진 삶의 질을 높일 뿐...
- [김민정 칼럼] - 세포 속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 microRNA
글: 김민정 (김민정 한의원장) DNA가 단백질이 되는 것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발현되지 않는 DNA의 조절부분은 어떤 것이 있는가-micro RNA 2000년대 초반 Science, Nature를 비롯한 과학서적에서 “유전자 조절의 새로운 패러다임”, “생물학계의 빅뱅” 이라는 타이틀로 Non-coding RNA에 대해 다루기 시작...
- [김민정 칼럼] - 암이 전이할 때 세포 속에서는 어떤 일이 생기나
글: 김민정 (김민정 한의원장) 암은 정상적인 성장과 분화 능력을 잃고 끊임없이 분열하고 증식하는 세포입니다. 전이는 암세포가 원래 처음 암이 발생했던 장소를 떠나서 혈액이나 림프조직을 타고 새로운 장소에서 암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1700년대 이전에 그리스 의사인 히포크라테스가 “carcinoma”(악성암)라는 용어를 만들었는데 c...
- [김민정 칼럼] - 암세포는 어떤 특징을 갖고 있으며 어떻게 증식 하나
글: 김민정 (김민정 한의원장) Evading apoptosis : 세포죽음(apoptosis)를 피함 암의 3번째 특성을 살펴보기에 앞서 세포의 죽음이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세포의 죽음 사람과 같은 다세포 생물(여러 개의 세포가 모여 있는 생물)은 세포가 이상증식을 하지 않게 조절하는 기전이 있습니다. 세포들이 모...
- [김민정 칼럼] - 세포의 성장신호와 관련된 암세포의 2가지 특성
글:김민정 (김민정한의원장) 1. Self-sufficiency in growth signals : 성장신호에 대해 스스로 만들어 내거나 없어도 스스로 성장이 가능함 정상세포는 분열하기 위해서(세포수가 늘어나기 위해서) 성장신호(growth signals)가 필요합니다. 이 신호들은 세포 표면에 붙어있는 수용체(receptors...
- [김민정 칼럼] - 암을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
글: 김민정(김민정 한의원장) 암이 왜 생기는가에 대한 연구는 암이라는 병을 발견한 이유로 계속적으로 연구되어 온 주제입니다. 암세포는 DNA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세포가 이상 증식하는 질환입니다.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는데 현재까지 밝혀진 원인 중 가장 대표적인 3가지는 1)환경적인 요소 2)바이러스 3)...
- 암예방에 도움이 되는 약품
김진목 | 부산대병원 통합의학센터 교수, 파인힐병원 병원장, 대한통합암학회 학회장, 대한민국 숨은명의 50, ‘통합암치료 로드맵’ 등 다수 저술 마르퀴스후스후(세계3대 인명사전) 등 다른 질병의 치료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던 약제들 중 암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관심을 끄는 약들을 소개한다. ▣ 아스피린 (해열진통...
- [김민정 칼럼] - 바이러스가 어떻게 암을 유발 하는가
글: 김민정(김민정 한의원장) 동물에게서 암이 생긴 원인으로 바이러스를 발암요인으로 발견해 낸 뒤 한동안은 암을 바이러스 질환으로 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자체가 암을 일으킨다고 생각하여 바이러스를 없애는 약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고 백신을 만들어 암을 다 고칠 수 있다는 희망에 부풀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