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방암 환자에게 운동 재활이 필요한 이유
글: 메디플러스솔루션 운동전문가 김명화 유방암은 여성들에게서 가장 흔한 암이지만 생존율이 가장 높은 암입니다. 따라서 생존율이 높은 만큼 암 치료 이후 수술 전과 다름없는 건강한 일상생활로 돌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암 치료를 통한 부작용으로 인해 신체적 제약이 생긴다면 일상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게 될 것이고 건강한 삶을 누린다고...
- [김민정 칼럼] -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어떻게 소멸시키나
글: 김민정 한의사(김민정 한의원장) 우리 몸은 외부 물질인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곰팡이등에 공격을 받고 내부적으로 암과 같은 질환에 위협을 받습니다. 사람의 면역은 사이토카인 같은 분자들이나 세포(수지상세포, 호중구, 마크로파지)나 조직(피부) 같은 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외부와 내부의 위협에서 우리 몸을 보호합니다. 우리면역시스템은 ...
- [김민정 칼럼] - 염증과 암
글: 김민정 한의사 (김민정 한의원장) 염증의 결과로서 만들어진 암미세환경에는 여러 가지 면역세포들이 있습니다. 마크로파지나 뉴트로필 마스트세포와 수지상세포 NK세포들 과 T세포 B세포들이 암과 암을 둘러싼 환경에 공존합니다. 이 여러 가지 세포들은 사이토카인과 키모카인을 통해 서로 대화하면서 암을 형성합니다. 여러 가지 면역매개물과...
- 식물 영양소
글: 김진목 | 부산대병원 통합의학센터 교수, 파인힐병원 병원장, 대한통합암학회 학회장, 대한민국 숨은명의 50, ‘통합암치료 로드맵’ 등 다수 저술 마르퀴스후스후(세계3대 인명사전) 등재 잘못된 식습관(diet)으로 인해 매년 1100만 명이 일찍 목숨을 잃는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2019년 4월 영국 BBC에서 보도했다. ...
- 위암 수술 후 줄어드는 체중, 이렇게만 관리하면 된다
글: 메디플러스 솔루션 영양전문가 이소연 우리 몸의 ‘위’라는 장기는 음식물을 맷돌과 같이 잘게 부수는 소화 기능과 섭취한 음식물을 저장하는 창고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 위암이 발생하면 병변을 제거하는 위 절제 술(부분 절제/전 절제)을 받게 됩니다. 잘라낸 위는 재생되지 않지만, 수술 후 시간이 지나면 환경에 적응하고 점...
- [김민정 칼럼] 면역과 암의 다이나믹한 관계
글: 김민정 한의사 (김민정 한의원장) 면역과 암의 관계 암과 염증의 관계는 1863년 Rudolf Virchow가 처음 주장하였는데 암은 염증이 일어난 지역에서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수십 년 후 여러 종류의 암이 감염이나 만성염증에 의해서 촉발된다는 증거가 나오면서 그 주장은 힘을 얻게 됩니다. 염증은 상처 난 조직을 회복하고 병...
- 유방암 재발률을 낮추는데 운동이 가장 효과적이다
글: 메디플러스 솔루션 김종광 유방암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여성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 암이다. 국내의 경우 점점 유방암 발생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지만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지속적으로 발달하는 의료기술, 유방암세포를 없애는 표적치료제의 개발로 인해 생존율 또한 증가하고 있다. 2012년부터 2016년 사이 발생한 국내 유...
- 인체 중금속을 제거하는 킬레이션 요법
글: 김진목 | 부산대병원 통합의학센터 교수, 파인힐병원 병원장, 대한통합암학회 학회장, 대한민국 숨은명의 50, ‘통합암치료 로드맵’ 등 다수 저술 마르퀴스후스후(세계3대 인명사전) 등재 요즈음 킬레이션 요법을 선호하는 의사와 환자의 숫자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지만, 부작용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킬레이션(chelat...
- [김민정 칼럼] 사람의 면역시스템 정리: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은 인체에 어떻게 작...
글: 김민정 한의사 (김민정한의원장) -선천면역과 후천면역의 전체과정 선천면역과 후천면역의 전체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서 면역시스템에 관한 내용을 마무리하겠습니다. 1.선천면역(0-4시간) 이것은 감염에 대한 방어의 첫 번째 선입니다. 선천면역은 병원균에 특이적이지 않고 기억력이 없기 때문에 스스로 감염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 [김민정칼럼] - 적응면역의 중심이 되는 헬퍼 T세포와 세포독성 T세포/B세포와...
글: 김민정 한의사 (김민정 한의원장) -T세포와 B세포의 상호작용 APC세포이기도 한 B세포는 항원을 인식하고 항원을 분해한 펩타이드가 B세포의 표면에 MHC class2와 함께 발현되었을 때 T세포는 항원을 인식합니다. B세포와 T세포는 사이토카인 수용체의 작용으로 림프절에서 서로를 향해 이동합니다. T세포와 B세포가 만나면 T...
- 칠면조의 믿음
김진목 | 부산대병원 통합의학센터 교수, 파인힐병원 병원장, 대한통합암학회 학회장, 대한민국 숨은명의 50, ‘통합암치료 로드맵’ 등 다수 저술 마르퀴스후스후(세계3대 인명사전) 등재 미국의 추수감사절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요리가 칠면조 요리이다. 미국인들은 추수감사절에 가족이 모여 오븐에 구운 칠면조고기를 먹는 것이 전통이다....
- [김민정 칼럼] - 인체의 적응면역을 촉진하고 관리하는 T세포
글: 김민정 한의사 (김민정 한의원장) -T세포의 활성화 적응면역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항원을 가지고 있는 항원제시세포(APC)가 T세포에 항원을 제시함으로써 T세포의 활성화시켜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수지상 세포입니다. 수지상세포는 선천면역세포이면서 항원제시세포입니다. 선천면역작용인 탐식작용으로 수지상...
- [김민정 칼럼] -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적응면역을 담당하는 B세포와 T세포
글: 김민정 한의사(김민정 한의원장) -적응면역(adaptive immunity) 적응면역은 병원균을 파괴한다기 보다 병원균을 잘 식별하도록 하는 기전이 발달되어있습니다. 특정한 병원균에 맞는 수용체를 가진 T세포나 B세포만 선택적으로 증식합니다. 적응면역에 작용하는 세포는 T세포와 B세포인데 T세포는 세포자체가 움직여 면역작용을 ...
- 점점 젊어지는 유방암, 조기 발견 어떻게 할까?
국내 유방암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특히 서구권에 비해 50대 이하의 젊은 유방암 환자 증가세가 뚜렷하다. 동양 여성들의 유방 특징은 유선 조직이 많은 ‘치밀성 유방’으로 이미 2017년부터 갑상선암을 제치고 여성 암 발병률 1위에 올라섰다. 유방암의 주요 증상으로는 통증, 혹, 유두 분비물 등이 꼽히는데 증상이 없는 경우도...
- ADT 치료중이라면 근력 운동이 필수
글: 메디플러스솔루션 운동전문가 김명화 암환자 건강관리 솔루션 앱 ‘세컨드 닥터’ 개인 맞춤형 운동관리 서비스 제공 전립선암 치료 방법 중 하나인 ADT 요법(Androgen Deprivation Therapy)은 남성호르몬을 억제하는 방법입니다. 남성 호르몬은 인체의 근육과 뼈 성장과 관련이 있는데 이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다 보...
- [전문가칼럼] - 코로나19 같은 전염성 질환, 예방과 치유를 위한 방법
김진목 | 부산대병원 통합의학센터 교수, 파인힐병원 병원장, 대한통합암학회 학회장, 대한민국 숨은명의 50, ‘통합암치료 로드맵’ 등 다수 저술 마르퀴스후스후(세계3대 인명사전) 등재 온 세상이 코로나19로 시끄럽다. 2003년 사스(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2...
- [김민정 칼럼] 태어날 때부터 갖고 있는 선천면역과 염증반응, 면역계의 신호-사...
글: 김민정 한의사 (김민정한의원장) 선천면역 (innate immunity) 우리 몸이 타고난 면역반응을 선천면역이라고 합니다. 선천면역은 염증반응과 병원체를 막는 작용 2가지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면역 세포 중 T세포와 B세포를 제외한 나머지 세포가 선천면역에 작용하는 세포입니다. 선천면역 세포들은 병원균이 가지고 있...
- 암요양병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치료와 암환자 식단
최근에 발표한 국가 암등록통계(2017)를 살펴보면 암 진단 후 5년 초과 생존한 환자가 전체 암 유병자의 55.7%로 나타났다. 2013~2017년 5년간 진단받은 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4%로 10여 년 전 생존율(54.1%)보다 16.3%, 약 1.3배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의료기술의 발달이 생존율을 증가시킨 그것뿐 아...
- [김민정 칼럼] - 폐와 장세포에 침입하는 코로나19(COVID-19)바이러스,...
글: 김민정 한의사(김민정 한의원장) COVID-19 는 무엇이고 어디에 침입하는가 -바이러스 분류 코로나바이러스들은 유전적 배열(DNA sequencing)에서 양방향(positive-sense)이고 RNA 단일가닥으로 이루어져 사람과 박쥐 다른 포유류나 새들을 숙주로 삼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Nidovi...
- [칼럼] 유방암, 치료보다 관리가 중요한 이유
▲정준석 소람한방병원 책임원장 유방암은 여성암 중 갑상선 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입니다. 지난해 10만 명당 65.7명이 유방암으로 사망했습니다. 5년 생존율이 92.3%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지만 환자 수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유방암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5대 암 진료환자 수 및 진료비 현황’ 자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