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간암 기사 내용, 특히 투병기에는 특정 약품이나 건강식품 등의 언급이 있습니다.
이는 투병기의 진솔한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함인데 의약품이나 건강식품의 섭취여부는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 하신 후에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전문의와 상의하지 않은 결정은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반드시 전문의료기관에서 받으시길 권고 드립니다.
- 거대 제약사 암치료약 40배 올린 음모
아스펜 파마케어 5가지 암 치료약 구입해 최고 40배 높은 가격 매겨 유출된 내부 이메일은 세계적인 제약업체의 직원들이 암 치료 약의 가격 인상을 축하하는 것을 보여주는 듯한 것이 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들리는 바에 의하면 아스펜 파마케어의 직원들이 2014년에 스페인 보건청과 가격 다툼이 있었을 때 목숨을 구하는 약품들의 재고를 ...
- 고용량 철분주사제 페린젝트, 암수술 후 빈혈 해결법 주목
위암수술 후 부작용 1위인 빈혈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내놨다. 위암수술 후 발생하는 급성 빈혈을 치료하는데 고용량 철분주사 요법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세계 유명 의학저널 지난 24일자 미국의학협회지(JAMA)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김영우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교수팀이 국내 7개 ...
- BRCA 돌연변이 유방암, 난소 제거해도 예방 힘들다
BRCA2 유전자 보유자 여성의 난소절제술, 유방암 위험 줄이지 못해 위민스 칼리지 병원(WCH) 과학자들의 최근 연구는 난소를 제거하는 수술 즉 난소절제술이 BRCA1이나 BRCA2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고 있는 여성들의 유방암 발생 위험을 이전에 생각하던 만큼 줄여주지 못하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나이가 50세 미만인 BRCA2 ...
- 항응고제 -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양날의 칼
수술 후 혈전증 예방 위해 받는 항응고제, 출혈 위험 높여 큰 수술은 정맥 혈전증 발생 위험을 높이고, 환자들은 수술 후 혈전증을 예방하기 위해 흔히 항응고제로 치료받는다. 그러나 항응고 예방 조처가 심각한 출혈 위험을 높인다. 국제적인 CLUE 워킹 그룹은 비뇨기암 수술이나 여타 다른 유형의 비뇨기 수술 후에 생기는 혈전증과 심한...
- 고용량 비타민C, 암치료 개선 인체 안전 시험 통과
고용량 비타민 C, 암세포가 방사선과 항암 화학요법에 민감하게 해줘 임상시험들은 뇌암과 폐암 환자에게 표준 암 치료제의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잠재적인 전략으로 비타민 C를 하루 권장량의 800~1,000배나 높게 정기적으로 주입하는 것이 안전한 것을 발견했다. 2017년 3월 30일에 발표한 논문에서는 아이오와 대학교 연구진...
- 한국인 유방암, 난소암 유발 유전자 규명
L1780P변이 보유 한국인, 만 40세까지 유방암 진단 확률 73.6% 한국인의 유방암·난소암을 유발하는 새로운 유전자 돌연변이를 규명해 향후 예방과 치료에 큰 진전이 기대된다. 연세암병원 박지수 암예방센터 교수와 세브란스병원 이승태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안젤리나 졸리 유전자’로 알려진 ‘BRCA1’에서 ‘c.5339T>...
- 키트루다,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 적응증 확대
한국 MSD는 자사의 항 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PD-L1 발현 양성(종양비율점수 (TPS) 50% 이상)인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 받았다고 밝혔다. 또한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2차 치료의 투여 대상은 PD-L1 발현 양성(TPS 1% 이상)으로 확대됐...
- 값비싼 전립선암의 치료약 비용 줄이는 방법
전립선암 치료제 아비라테론, 저지방 아침식사와 함께 복용하면 1/4 줄여도 효과 같아 미국 임상종양학 협회가 주최하는 2017년 비뇨기계 암 심포지엄에서 발표될 다기관 무작위 제2 임상시험에 관한 연구는 전립선암을 치료하는 항암제 250 밀리그램을 저지방 아침식사와 함께 복용한 36명의 환자들이 표준 용량인 1,000 밀리그램을 공복...
- 2차 암 생겨도 전립선암 재발 영향 없다
분당서울대병원 변석수 교수팀, 2차 암 발생 전립선암 재발과는 관계 없어 암 생존자의 신체에서 기존에 암이 발생했던 곳이 아닌 다른 장기에 암이 발생하는 ‘2차 암’이 전립암 재발에 영향이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기과 변석수 교수팀이 2003년 5월부터 약 10년간 전립선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3,866명을 조사...
- 유방암 진단 후 한달 이내 우울, 불안 등의 정서적 돌봄 필요하다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특히 유방암으로 진단받고 한달이 안 된 환자가 우울장애, 불안장애 등 정신건강의학 질환에 취약해 이들에 대한 정신의학적 돌봄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전미선 교수와 허재성 임상강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처방자료를 이용, 국내 유방암 환자의 정신건강의학 질환 특성을 분석해 이같이...